본문 바로가기

萬波息笛

국립경주박물관 경상도 개도 700년 기념 특별전-경상북도 1314~1896 개최

반응형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상주박물관과 공동기획으로, 경상도 개도(開道) 700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慶尙北道 1314~1896’7월 22일부터 9월 14일까지 개최합니다.



올해는‘경상도(慶尙道)’라는 도명(道名)이 사용된 지 700년이 되는 해입니다. 아시다시피 ‘경상도’라는 이름은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에서 따온 것입니다. 도명의 유래지에 위치한 국립경주박물관과 상주박물관은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경상북도’에 대한 특별전을 공동으로 기획하였습니다.

    

이 특별전에서는 ‘경상도’라는 도명이 정해진 1314년(고려 충숙왕 원년)부터 ‘경상도’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로 나누어진 1896년(고종 33년)까지, 경상북도 사람들이 이룩한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삶의 큰 흐름을 돌아봅니다.


특별전은 다음과 같이 경상 감영의 변천에 따라 4부로 구성하였습니다. 

1부, 경상도의 등장 (1314~1392) 

2부, 경상 감영 Ⅰ기 (경주·상주 시기/ 1392~1593)

3부, 경상 감영 Ⅱ기 (성주·달성·안동 시기/ 1593~1601) 

4부, 경상 감영 Ⅲ기 (대구 시기/ 1601~1895)


경상북도의 자연 환경, 인물, 사건, 이야기 등 경상북도와 그 사람들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 볼 수 있는 200여 점의 문화재를 전시합니다. 

이 가운데에는 국보 1점(안향 초상)과 보물 12점을 비롯하여 경북 유형문화재 4점, 경북 문화재자료 1점, 경북 민속자료 5점, 부산 유형문화재 1점 등의 지정문화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부. 경상도의 등장 (1314~1392)

경상도의 역사와 도명의 변천사, 그 위상 등을 상세히 기록한 『경상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등의 문헌 자료와 함께 경상도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고지도들을 전시합니다. 특히 한반도는 물론, 경상도를 상세히 그린 동국대지도(보물)는 중요한 전시품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와 함께 경상도의 고을과 교통로를 채색하여 만든 영남도지도, 경상도의 71개 군현을 수록한 영남지도도 선보입니다. 

경상도 출신 인사들은 고려 유학의 성립에 중요한 구실을 하였고, 성리학의 수용과 보급에도 앞장섰습니다.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1243~1306)의 초상(국보)과 중국의 성리학자들을 그린 오현영정(경북 유형문화재)은 빼놓을 수 없는 작품입니다. 또한 고려 말의 성리학자 이제현(1287~1367)의 초상(경북 문화재자료)을 비롯해 이색(1328~1396)정몽주(1337~1392)의 초상을 함께 공개합니다. 

 

     

▶ 안양, 이제현 초상(사진 : 국립경주박물관)

▶ 정몽주 초상(사진 : 국립경주박물관)


2부. 경상 감영 Ⅰ기 (경주·상주 시기/ 1392~1593)

조선 전기 경상도에는 많은 인재들이 등장해 학문이 발달하고 문화가 융성하였습니다. 경상도의 최고행정기관인 감영은 조선 개국 초에는 경주에 있었으나, 1408년(태종 8년)에 상주로 옮겨졌습니다. 상주 감영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듬해인 1593년(선조 26년)까지 존속하였습니다. 

이러한 경상도 관찰사의 활동과 기록을 살펴볼 수 있는 『당하제명기(棠下題名記)』와 『도선생안(道先生案)』을 전시합니다. 또한 경상도 관찰사로서 1425년(세종 7년)『당하제명기』를 작성한 하연(1376~1453) 부부의 영정도 출품됩니다.   

경상도 문인의 풍류를 보여주는 탁영 김일손(1464~1498) 거문고(보물), 성주에 있는 세종대왕 왕자 태실 출토의 분청사기 태항아리(胎壺) 뚜껑, ‘慶尙道’라는 명문이 있는 분청사기 항아리편도 이 시기의 주목할 만한 전시품입니다. 1586년(선조 19년)에 죽은 남편을 그리워하며 쓴 원이엄마의 한글 편지와 부인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미투리는 조선시대 부부의 애절한 사랑을 잘 보여줍니다.  

영남 사림파를 대표하는 김종직(1431~1492)의 교지(보물), 이황(1501~1570)의 27세 때 향시 답안지, 조식(1501~1572)의『남명집(南冥集)』, 성학(聖學)을 그림으로 설명한 이황의 성학십도 목판(경북 유형문화재)도 전시됩니다.   

이 시기의 불교 문화재로는 경상도 사찰에 모셨던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관음보살윤왕좌상이 보존처리를 거쳐 새로이 공개됩니다. 


    

▶ 당하제명기와 도선생안(사진 : 국립경주박물관)


▶ 김일손 거문고(사진 : 국립경주박물관)


3부. 경상 감영 Ⅱ기 (성주·달성·안동 시기/ 1593~1601)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의 발발로 경상도 전역이 전쟁터가 되어 상주 감영은 기능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감영은 1593년 성주 팔거(현재 칠곡), 1596년 대구 달성, 1597년 안동 등으로 옮겨 다녔습니다. 그 당시 경상도 지역의 급박했던 상황과 도민들의 피해가 심각했음을 보여줍니다.  

주요 전시품으로는 1593년의 삼안총(보물), 류성룡(1542~1607)의 상소 초안인 진시무차초고(陳時務箚草稿, 부산 유형문화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공을 세운 정기룡(1562~1622) 장군의 추증교지(보물), 의병장 최문병(?~1599)의 말안장(보물), 190일 간의 전란을 기록한 조정(1555~1636)의 임란일기(보물), 전란 때 형제의 우애를 보여주는 월간창석형제급난도(月磵蒼石兄弟急難圖, 경북 유형문화재) 등이 있습니다.  


    

▶ 최문병 의병장 안장과 정기룡장군 추증교지(사진 : 국립경주박물관)


4부. 경상 감영 Ⅲ기 (대구 시기/ 1601~1895)

이 시기에는 관찰사가 감영에 머물면서 다스렸고 감영은 차츰 안정되었습니다. 조선 후기의 경상도는 성숙한 문화의 꽃을 피우며 새로운 변혁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었습니다.  

감영과 관련된 자료로서, 1617년(광해군 9년) 경주부윤을 지낸 윤효전(1563~1619)을 그린 것으로 전하는 초상(보물)과, 조선 후기의 수사기록인 영영옥안(嶺營獄案), 도내 지방관 명단인 도내관안(道內官案) 등을 전시합니다.  

이 무렵 경상도의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그림과 지도도 전시됩니다. 포항 내연산 폭포를 그린 정선(1676~1759)의 내연삼용추도(內延三龍湫圖), 안동과 순흥의 명승지를 그린 이의성(1775~1833)의 하외도(河隈圖),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목판(보물) 등이 있습니다. 

이 시기 경상도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보여주는 전시품으로 1855년(철종6년) 이휘병(1819~?)을 대표로 약 1만 명의 지역 유생들이 상소를 올린 사도세자 추존 만인소(思悼世子 追尊 萬人疏), 상주 향약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증손향약(增損鄕約, 경북유형문화재), 이상적인 일생을 묘사한 모당홍상공 평생도(募堂洪相公 平生圖), 경상도 양반집의 일상을 보여주는 곽주(1569~1617)의 한글 편지들, 울진에서 발견된 무덤에서 나온 죽함(竹函)과 그 안에 넣었던 생활용품 등이 있습니다.

또한 종교 관련 자료로서 19세기 말 격변하던 정세와 사회상을 이해할 수 있는 상주 동학교당의 동학 관련 자료를 전시합니다. 아울러 칠곡의 조선시대 무덤에서 최근 출토된 십자가상도 공개합니다. 조선 말기 경상북도 지역에 천주교(기독교)가 수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 내연삼용추도와 대동여지도 목판(사진 : 국립경주박물관)

▶ 하외도(사진 : 국립경주박물관)


이처럼 경상도 사람들은 예부터 공동체를 이루면서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 왔습니다. 신라가 그러했고, 고려 및 조선시대의 경상도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특히 경주의 경우 고려시대에도 ‘동경(東京)’으로 불리면서 독자적 위상을 유지하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조선 인재의 절반이 영남에 있다(朝鮮人才 半在嶺南)’라고 기록될 정도로 경상도에서는 훌륭한 인물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이번 특별전이 이러한 경상북도의 역사문화와 사람들을 이해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이 특별전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이어 상주박물관에서 10월 12일부터 12월 29일까지 개최됩니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실 연구사 임재완(☎ 054-740-7588), 연구사 서유리(☎ 054-740-7540)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홈페이지 보도자료(http://gyeongju.museum.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