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주문화유산답사

서남산,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반응형

거대한 자연 바위벽에 새겨진 앉아 있는 모습의 석가여래불로 머리에서 어깨까지는 입체적으로 깊게 조각하였는데, 몸체로 내려올수록 얕은 선으로 조각한 특이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법은 고려시대의 마애불(바위의 벽면에 새긴 불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조각기법이다.

둥글고 넓적한 얼굴에 반쯤 뜬 눈이 아래를 내려다 보고 있는데, ··입의 표현이 뚜렷하고 균형이 잡혀 있다. 기다란 귀는 어깨에 까지 닿아 있고 목은 짧다.

불상의 몸은 두 어깨를 감싼 통견(스님들이 옷 입는 방법의 하나로 양쪽 어깨를 다 덮는 방법)의 옷차림으로 가슴 밑으로 둥근 U자형으로 깊게 파인 내의가 보이며, 그 밑으로 군의(허리에서부터 아래를 덮은 긴치마 모양의 옷)를 묶은 띠 매듭이 수평으로 새겨졌다.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 (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오른손은 위로 들어 가슴 부분에 놓고 왼손은 다리 위에 놓아 선정인(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에 앉아 깊은 명상에 잠겨 있을 때 취한 손 모습)의 자세로 둥글게 모았다. 결가부좌(오른쪽 발을 왼쪽 허벅다리 위에, 왼쪽 발을 오른쪽 허벅다리 위에 놓고 앉는 자세로 부처님은 반드시 이렇게 앉음)한 다리에는 나선형의 옷주름이 새겨져 있다.

발밑에는 올림연꽃으로 대좌를 이루고 있다. 거대한 자연석에 선으로 조각되어 있지만 당당한 모습에 위엄이 느껴진다이러한 불상 형식은 고려시대의 거대불상 표현으로 이어지는 토착적인 조각 전통을 보여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