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주문화유산답사

경애왕, 비운의 왕 포석정에서 스러지다

반응형

신라 제55대 경애왕(재위 924~927)의 능은 경주시 배동 서남산 삼릉계곡 입구에 있다. 무덤의 겉모습은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원형봉토분으로 주변에 별다른 장식이 없으며 왕릉으로는 작은 규모에 속한다.

경애왕의 성은 박씨, 이름은 위응으로 아버지는 신라 제53대 신덕왕(재위 912~917)이며 어머니는 의성왕후이다. 그리고 신라 제54대 경명왕(재위 917~924)의 동생이다.

경애왕이 왕위에 오르고 4년째 되는 해인 9279월에 고려와 싸움을 하던 후백제 견훤은 갑작스럽게 신라의 고울부(지금의 경상북도 영천시)로 쳐들어온다. 이때 왕은 고려 태조 왕건에게 구원군을 요청하지만 후백제 견훤의 군대는 같은 해 11월에 고려의 구원군이 도착하기 전에 서라벌로 쳐 들어가 포석정에서 잔치를 하며 놀고 있던 경애왕을 잡아 스스로 자살케 하고 왕비를 욕 보였다. 그리고 신라의 마지막 왕이 되는 경순왕(재위 927~935) 김부를 왕위에 세우고 돌아갔다.

신라 경애왕릉(사적 제222호)

『삼국유사』 김부대왕 조에 보면 경애왕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상황이 자세하게 나와 있다.

…정해(927년) 9월(음력)에 (후)백제 견훤이 신라에 침입해 고울부(지금의 영천시)까지 이르렀다. 경애왕이 우리 태조(왕건)에게 구원병을 청하자 장수에게 명해 날쌘 군사 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구원하게 했다. 그러나 구원병이 미처 이르기 전 견훤은 11월에 서울로 쳐들어 갔다.
이때 왕은 비빈(임금의 부인), 종척(왕의 친척)들과 더불어 포석정에서 노닐며 잔치를 즐기고 있었다. 견훤의 군사들이 들이 닥치는 것도 깨닫지 못하다가 어찌할 바를 몰랐다. 왕은 왕비와 함께 후궁으로 달려 들어가고 여러 신하들과 궁녀들은 사방으로 흩어져 달아나다가 적에게 사로잡히자 엎드려 기면서 노비라도 되게 해달라고 빌었다. 견훤이 군사를 풀어 재물을 약탈하고, 대궐로 들어가 자리를 정하고 좌우에게 명해 왕을 찾아내게 했다. 왕은 왕비 등 몇 사람과 함께 후궁에 숨어 있었는데
 (중략) 견훤이 협박해 스스로 자살하도록 하였다. 왕비를 범하고 부하들에게 후궁들을 짓밟게 했다 (중략) 왕(경순왕)이 견훤의 손에 의해 즉위된 뒤 전왕(경애왕)의 시체를 서당에 모시고, 여러 신하들과 함께 통곡하였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경애왕을 남산 해목령에 장사지냈다고 나오는데 지금의 능에서 남산쪽으로 2km정도 되는 거리에 해목령이 있기 때문에 현재의 무덤을 경애왕릉으로 보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