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주문화유산답사

오릉, 신라초기 박씨 왕들이 묻혀 있는 곳

반응형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능으로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기록에서는 사릉(蛇陵)’이라고도 한다. 모두 5기가 있으며,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거서간과 왕비 알영, 2대 남해차차웅(재위 4~24), 3대 유리이사금(재위 24~57), 5대 파사이사금(재위 80~112)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신라오릉 (新羅五陵) (사적 172호) 

일연스님이 지은 삼국유사에는 오릉이 혁거세거서간의 단독 무덤이라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박혁거세는 61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다가 하늘로 올라갔는데 칠일 후 시신이 땅에 흩어져 떨어졌고 왕비도 세상을 떠났다. 나라 사람들이 한 곳에 장사를 지내려 하자 큰 뱀이 이를 방해했다. 그래서 머리와 사지(두 팔과 두 다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를 제각각 장사 지내 오릉으로 만들었는데 이를 사릉이라고도 한다. 담엄사 북쪽의 능이 바로 이것이다.

알영정(閼英井) (비지정 문화재) 

오릉 동쪽 대나무 숲 가운데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왕비인 알영이 태어난 우물인 알영정의 옛 자취가 남아 있다.

삼국사기에는 박혁거세 5년(기원전 54) 정월에 용이 알영정에 나타났다. 용은 오른쪽 갈빗대에서 계집아이 하나를 낳았다. 늙은 할멈이 이 광경을 보고는 이상히 여기어 계집아이를 데려다 길렀다. 그리고는 우물 이름을 따서 계집아이의 이름을 지었다.”라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내용상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삼국유사에도 사량리 알영정(아리영정이라고도 한다)가에 계룡이 나타나 왼쪽 옆구리에서 계집아이 하나를 낳았다.(혹은 용이 나타나 죽었는데 그 배를 갈라 얻었다고도 한다) 여자 아이의 얼굴과 용모는 매우 아름다웠으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았다. 아이를 월성 북천에서 목욕시키자 부리가 떨어져 나갔다. 그 때문에 시내 이름을 발천이라 했다.”라는 기록이 전한다.

현재 알영정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동경잡기(조선 헌종 11, 1845년에 만들어진 경주에 대한 책)에 따르면, 경주부의 남쪽 5리에 있었다고 한다.

신라의 시조 혁거세거서간의 성은 박씨, 왕비는 알영부인이다. 거서간은 진한의 말로 왕이란 뜻이다. 또는 귀인을 이르는 말이다. 13(기원57)에 여섯 마을(진한 또는 사로육촌)의 촌장들이 추대(어떤 사람을 높은 자리에 오르게 하여 받듦)하여 왕위에 올라 61년간 신라를 다스렸다.

신라 제2대 남해차차웅은 혁거세거서간과 알영부인의 아들로 왕비는 운제부인(또는 아로부인)이다. 재위기간 중 낙랑의 침입으로 금성이 포위되기도 하였고, 왜인들의 침입을 받기도 하였다. 재위 21(24) 만에 죽으니 사릉원(현재의 오릉)에 장사지냈다. 왕의 명칭인 차차웅은 다른 말로 자충이라고도 한다. 화랑세기(신라 화랑들의 이야기를 기록한 책)를 지은 김대문은 자충은 무당을 말하는 방언이라고 하였다.

신라 제3대 유리이사금은 남해차차웅의 아들로 왕비는 갈문왕(신라시대 왕과 일정한 관계를 가진 최고 성씨집단의 족장 또는 가계의 장에게 준 호칭으로 왕에 준하는 특수한 지위를 가짐) 일지의 딸이다. 왕위에 오르기 전에 석탈해에게 왕위를 양보하였는데, 탈해가 사양하였다. 그리고 서로 떡을 물어 이의 자국이 많은 사람이 왕이 되기로 하였는데 유리이사금의 이의 숫자가 많아 왕위에 올랐다. 이런 이유로 이때부터 왕의 명칭을 이사금이라고 불렀다. 왕위에 있으면서 사로육촌을 육부로 고치고 성을 내려 주었다. 그리고 17관등을 설치하였다. 재위 34(57) 만에 죽으니 사릉원(지금의 오릉)에 장사지냈다.

신라 제5대 파사이사금은 유리왕의 둘째 아들로 왕비는 김씨 사성부인이다. 탈해이사금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재위기간 중 백제와 가야의 침입을 받았다. 101년에 월성을 쌓고 왕궁을 금성에서 월성으로 옮겼다. 102년에 진한의 소국들 중 음집벌국(지금의 경주시 안강읍)과 실직곡국(지금의 강원도 삼척시), 압독국(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을 점령하여 영토를 크게 넗혔다. 재위 33(112)에 죽으니 사릉원(지금의 오릉)에 장사지냈다.

숭덕전 (崇德殿) (문화재자료 254호)

오릉 남쪽에 숭덕전(문화재자료 254)이 있는데,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제사를 모시는 곳이다. 조선 세종 11(1429)에 처음 세웠지만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선조 33(1600)에 다시 지었고 숙종 20(1694)에 고쳤다. 처음에는 나라에서 제사를 지냈으나 임진왜란 이후 박씨 문중에서 봄,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제사를 지내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