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결가부좌

서남산,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거대한 자연 바위벽에 새겨진 앉아 있는 모습의 석가여래불로 머리에서 어깨까지는 입체적으로 깊게 조각하였는데, 몸체로 내려올수록 얕은 선으로 조각한 특이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법은 고려시대의 마애불(바위의 벽면에 새긴 불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조각기법이다. 둥글고 넓적한 얼굴에 반쯤 뜬 눈이 아래를 내려다 보고 있는데, 눈·코·입의 표현이 뚜렷하고 균형이 잡혀 있다. 기다란 귀는 어깨에 까지 닿아 있고 목은 짧다. 불상의 몸은 두 어깨를 감싼 통견(스님들이 옷 입는 방법의 하나로 양쪽 어깨를 다 덮는 방법)의 옷차림으로 가슴 밑으로 둥근 U자형으로 깊게 파인 내의가 보이며, 그 밑으로 군의(허리에서부터 아래를 덮은 긴치마 모양의 옷)를 묶은 띠 매듭이 수평으로 새겨졌다. 오른손은 위로 들.. 더보기
서남산, 삼릉계곡 석조여래좌상 얼음골(냉골)이라고 부르는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있는 이 석불좌상은 불상의 높이가 142cm이고 불상이 앉은 대좌의 높이는 96.7cm이다. 불상의 머리 위 정수리에는 큼직한 육계(상투 모양의 머리로 지혜를 뜻함)가 우뚝 솟아 있고 머리칼은 나발(소라껍질처럼 틀어 말린 모양의 머리칼, 곱슬머리)로 세밀하게 조각되어 있다. 풍만하고 둥근 얼굴에 두 귀는 짧게 표현되었으며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부처님의 목에 있는 3개의 주름으로 지옥, 아귀, 축생을 제도할 수 있는 위력을 상징함)가 가늘게 새겨져 있다. 편단우견(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차림)의 옷주름선은 간결하게 표현되어 풍만한 몸체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불상의 손 모습은 항마촉지인(왼손을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