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춘추

천년 세월 속을 거닐다 023~경주 태종무열왕릉 가는 길 이른 아침 태종무열왕릉 가는 길에 핀 벚꽃을 보기 위해 드라이브를 나갔다. 꽃피는 봄날... 온 나라가 코로나19 유행으로 모두들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힘내라 대한민국! 힘내라 경주^^ 더보기
태종무열왕, 백제 사비성 함락, 일통삼한으로 가는 길을 열다.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재위 654~661)의 능이다.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원형봉토분으로 무덤 주위에는 무덤의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둘레돌을 돌렸다. 무덤 앞에 있는 귀부(거북모양의 비석 받침돌)위에 얹혀 있는 이수(비석의 맨 윗부분을 장식하는 머릿돌로 보통 용 문양을 새겨둔다)의 앞면에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라고 새겨진 글귀로 인해 신라시대 왕들의 무덤 중 그 주인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유일한 무덤이다.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재위 654~661)의 이름은 춘추(春秋)로 신라 제25대 진지왕(재위 576~579)의 아들인 이찬(신라 17관등 중 두번째, 이척찬이라고도 함) 용춘(또는 용수)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신라 제26대 진평왕(재위 579~632.. 더보기
진지왕, 영웅의 아들 왕위에서 폐위되다.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제25대 진지왕(재위 576~579)의 능으로 전해지는 무덤으로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원형 봉토분이다. 밑둘레에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무덤을 보호하는 둘레돌을 갖춘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몇 개만 드문드문 보이고 있다. 현재 학자들 중 일부는 진지왕의 무덤이 이곳이 아니라 경주시 서악동 태종무열왕릉 뒷편에 있는 4기의 무덤 가운데 아래쪽에서 두번째 무덤을 진지왕릉으로 보기도 한다. 진지왕은 진흥왕의 둘째 아들로 일찍 죽은 동륜태자의 동생이다. 이름은 사륜 또는 금륜이며 어머니는 사도부인(성은 박씨. 모량리 각간 영실의 딸)이며 비는 지도부인(성은 박씨, 기오공의 딸)이다. 진흥왕의 태자인 동륜이 일찍 죽었고 그 아들인 백정(신라 제26대 진평왕)이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더보기
선덕여왕, 세 가지 일을 미리 알다.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낭산 정상에 있는 선덕여왕의 무덤이다. 외부 모습은 밑둘레에 자연석을 이용하여 2~3단으로 둘레돌(무덤의 가장자리 기슭에 돌아가면서 늘어놓은 돌로 무덤의 흙이 무너져 내리 것을 막는 역할을 함)을 쌓고 다시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무덤이다. 선덕여왕은 신라 제27대 왕(632∼647)으로 성은 김씨, 이름은 덕만이다. 진평왕의 큰 딸로 어머니는 마야부인이다.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왕으로 세우고, “성조황고(聖祖皇姑 : 성스러운 여자 황제)”란 호를 올렸다. 신라에서 여자인 선덕여왕이 처음으로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성골’이라는 특수한 왕족 신분 때문이었다. 신라선덕여왕릉(新羅善德女王陵) 사적 182호 『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는 선덕여왕이 미리 알아서 맞춘.. 더보기
신라의 신분제도, 성골과 진골 그리고 육두품 신라시대에는 혈통의 높고 낮음에 따라 신분을 엄격히 구분하였는데 왕족을 대상으로 한 골제와 귀족과 일반백성을 두품제로 구분하였는데 이것을 골품제도라고 한다. 신라는 골품제도를 통해 벼슬, 결혼, 옷차림, 집의 크기, 수레 등의 규모와 장식 등 사회생활 전체에 걸쳐 엄격하게 규제하였다. 신라의 국가 형성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한 골품제도는 6세기 초에 법으로 정해진 후 삼국통일을 이룩하고 멸망에 이를 때까지 이 제도를 엄격하게 지켰다. 신라시대 골품제도에서 최고의 신분 계급은 성골과 진골이다. 특히 성골은 그 중 가장 높은 신분으로 왕족 중에서도 일부만 차지하였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시조인 혁거세 거서간부터 제28대 진덕여왕까지 왕들을 성골이라 하였으나, 『삼국유사』에는 제23대 법흥왕에서 진덕여왕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