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형봉토분

삼릉, 신라 박씨 왕 세 분이 잠들어 있는 곳 경주시 배동 서남산 자락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으로 아달라 이사금, 신덕왕, 경명왕 등 박씨 왕 세 분의 능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 3기의 무덤은 모두 원형봉토분(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무덤)이다. 무덤 내부는 1953년과 1963년에 신덕왕릉이라 전해져 오는 가운데 무덤이 도굴 당했을 때, 조사한 결과 굴식돌방무덤으로 밝혀졌다. 이 무덤 내부의 벽면이 병풍을 돌려 세워 놓은 것처럼 동쪽과 서쪽벽 일부에 붉은색, 황색, 백색, 군청색, 감청색 등의 다섯가지 색으로 칠해져 있었다. 고분벽화가 남아 있지 않은 신라의 무덤으로 매우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 학자들 사이에는 다섯가지 색깔을 통해서는 오행설과 연관이 있으며, 색이 칠해진 12개의 벽면은 방위와 관련된 12지신 사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더보기
대릉원, 마립간 시기 신라왕실의 무덤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군으로 경주지역에 흩어져 있는 여러 고분군들 가운데 중심부분에 해당하는 이 지역에는 현재 20여 기의 크고 작은 고분들이 남아 있다. 이 고분들 가운데 신라 13대 미추왕의 능이라 전하는 무덤을 중심으로 고분들이 밀집된 곳을 1973년에 “대릉원”이라는 고분공원으로 만들었으며, 그 안에는 천마총(색이 칠해진 천마도가 나옴)·황남대총(표주박 모양으로 연결된 두 개의 무덤으로 남자와 여자의 무덤) 등이 포함되어 있다. 외형상으로는 모두 원형봉토분(흙으로 둥글게 쌓아올린 무덤)으로 규모는 지름 80m, 높이 20m에 이르는 왕릉급의 대형 무덤에서부터 지름이 불과 몇 m에 불과한 소형 무덤까지 다양하다. 대릉원 안에 자리 잡고 있는 무덤들은 대부분 삼국시대 신라 특유의 돌무지.. 더보기
경애왕, 비운의 왕 포석정에서 스러지다 신라 제55대 경애왕(재위 924~927)의 능은 경주시 배동 서남산 삼릉계곡 입구에 있다. 무덤의 겉모습은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원형봉토분으로 주변에 별다른 장식이 없으며 왕릉으로는 작은 규모에 속한다. 경애왕의 성은 박씨, 이름은 위응으로 아버지는 신라 제53대 신덕왕(재위 912~917)이며 어머니는 의성왕후이다. 그리고 신라 제54대 경명왕(재위 917~924)의 동생이다. 경애왕이 왕위에 오르고 4년째 되는 해인 927년 9월에 고려와 싸움을 하던 후백제 견훤은 갑작스럽게 신라의 고울부(지금의 경상북도 영천시)로 쳐들어온다. 이때 왕은 고려 태조 왕건에게 구원군을 요청하지만 후백제 견훤의 군대는 같은 해 11월에 고려의 구원군이 도착하기 전에 서라벌로 쳐 들어가 포석정에서 잔치를 하며 놀고 있.. 더보기
지마이사금, 가야를 공격하고 왜구와 말갈의 침입을 막아내다 신라 제6대 지마이사금(재위 112~134)은 파사이사금의 아들로 왕비는 애례부인 김씨이며 갈문왕 마제의 딸이다. 『삼국사기』에는 태자 시절에 결혼하게 되는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23년간 재위에 있으면서 가야를 공격하고, 왜구와 말갈의 침입을 막았다.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남산자락에 있는 무덤은 흙을 둥글게 쌓아올린 원형봉토분으로 특별한 장식이 없으며 최근에 설치한 혼유석(영혼이 나와 노니는 곳)이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지마이사금의 재위 기간 동안 유난히 자연재해가 많았음을 볼 수 있는데, 우박과 서리, 홍수와 태풍, 가뭄 그리고 일식, 지진 등이 있었다. 115년, 봄 가야가 침범하자 왕은 직접 보병과 기병을 거느리고 황산하(지금의 낙동강 하류)를 지나 가야를 공격하였는데, 가야 .. 더보기
경주 신당리 고분유적 발굴 현장설명회 계림문화재연구원(원장 남시진)이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의 허가를 받아 조사를 하고 있는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산7번지 공장 신축 대지 내 유적에 대한 설명회가 3월 4일 오후 1시에 발굴 조사 현장에서 열렸다.신당리 1호 봉토분이라 명명된 이 원형봉토분은 경주 망성리에 위치하고 있는 신라 제44대 민애왕릉(사적 제190호)과 동일한 양상으로 조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신당리 1호분 전경▶현장 설명회(계림문화재연구원)이번 발굴 조사를 통해 밝혀진 무덤의 형태는 지대석(모든 구조물에서 제일 아래 땅과 맞닫는 돌)과 3단의 호석(무덤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돌) 그리고 받침석을 비롯하여 무덤 남동쪽에 상석(제사를 지낼 때 재물 등을 올려 놓는 돌)을 갖춘 형태이다.▶지대석과 3단의 호석, 받침석▶무덤 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