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주문화유산답사

태종무열왕, 백제 사비성 함락, 일통삼한으로 가는 길을 열다.

반응형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재위 654~661)의 능이다.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원형봉토분으로 무덤 주위에는 무덤의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둘레돌을 돌렸다. 무덤 앞에 있는 귀부(거북모양의 비석 받침돌)위에 얹혀 있는 이수(비석의 맨 윗부분을 장식하는 머릿돌로 보통 용 문양을 새겨둔다)의 앞면에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大王之碑)’라고 새겨진 글귀로 인해 신라시대 왕들의 무덤 중 그 주인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유일한 무덤이다.

신라무열왕릉(新羅武烈王陵) (사적 20호)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재위 654~661)의 이름은 춘추(春秋)로 신라 제25대 진지왕(재위 576~579)의 아들인 이찬(신라 17관등 중 두번째, 이척찬이라고도 함) 용춘(또는 용수)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신라 제26대 진평왕(재위 579~632)의 딸인 천명부인이다. 왕비는 문명부인으로 각찬(신라 17관등 중 첫번째, 이벌찬이라고도 함) 김서현의 딸로 김유신 장군의 누이동생인 문희이다.

신라태종무열왕릉비(新羅太宗武烈王陵碑) (국보 25호)

이수(비석 머릿돌) 앞면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3마리씩 6마리의 용이 뒤엉켜 있으며, 용이 받들고 있는 여의주 아래쪽에 "太宗武烈大王之碑"란 글귀가 새겨져 있다)

이수 뒷면(중앙에 여의주를 받들고 있는 모습)

(조선시대 이우라는 사람이 쓴 『대동금석서속』이란 책에 이 비석에 새겨진 글을 쓴 사람이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인 김인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왕은 의표(생각하는 것)가 영특(남달리 뛰어나고 훌륭함)하여 어려서부터 세상을 바로잡을 뜻을 가지고 있었으며, 신라 제28대 진덕왕(재위 647~654)을 섬겨 벼슬이 이찬에 이르렀다고 한다. 진덕여왕이 죽고 난 뒤에 성골출신으로 왕위에 오를만한 남자가 모두 없어지자 여러 신하들이 다음 왕위에 오를 사람으로 진골출신이자 상대등(신라시대 최고의 관직으로 법흥왕 때 처음 설치됨)인 알천(신라의 진골귀족이며 장군으로 선덕여왕 때 여근곡에 침입한 백제의 장군 우소의 군대를 모두 물리쳤다. 비담과 염종의 반란이 진압된 뒤 상대등이 되었다)을 지목하였지만 알천은 "나는 나이도 이미 늙었고 이렇다 할 덕행도 없으니, 지금 덕망이 융숭한 춘추공 같은 이는 실로 세상을 바로잡을 영걸이라 할 수 있다."고 사양하고 춘추를 지목하였다. 김춘추는 세 번이나 간곡하게 사양하다가 왕위에 오르니 52세의 늦은 나이로 신라 진골 출신의 첫 왕이 되었다.

642(신라 제27대 선덕여왕 11)에 백제 의자왕은 직접 군사를 이끌고 신라로 쳐들어와 신라의 40여개 성을 쳐서 빼앗고, 그해 8월에 장군 윤충을 보내 대야성(지금의 경남 합천)을 함락시켰다. 이곳의 성주는 이찬 품석(김춘추의 사위)으로 성이 함락되었을 때 아내와 함께 죽었다『삼국사기기록을 보면 딸과 사위의 죽음을 전해들은 김춘추는 기둥에 기대어 하루 종일 눈 한번 깜박이지 아니하더니 이윽고 하는 말이 대장부가 어찌 백제를 못 없앤단 말이냐하고, 선덕여왕에게 나아가 신은 고구려에 가서 군사를 청하여 백제에 대한 원한을 갚고야 말겠습니다.” 하니 왕이 허락하였다고 한다.

이때부터 김춘추는 백제를 멸망시키기 위해 고구려에 사신으로 가서 군사를 청했지만 당시 고구려의 실권자인 연개소문은 이 요청을 거절하였다. 이에 김춘추는 신라 제28대 진덕여왕(재위 647~654)2(648)에 사신으로 당나라로 건너가서 당태종 이세민을 만나 나당동맹을 이끌어 내게 된다.

김춘추가 왕위에 오르고 7년 째 되는 해인 660년 이찬 김유신을 승진시켜 상대등으로 삼고 백제를 멸망시킬 준비를 마친다. 같은 해 3월 당 고종은 소정방과 김인문(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을 장수로 삼아 13만 대군을 거느리고 백제를 공격하게 한다. 같은 해 5월 태종무열왕은 김유신과 함께 직접 군사를 거느리고 서울을 떠나 6월에 남천정(지금의 경기도 이천군)에 도착하여 소정방의 군대를 기다린다.

중국 산둥반도(산동성)에서 출발한 당나라 군대는 황해를 건너와 7월에 덕물도(지금의 인천시 옹진군 덕적도)에 도착하여 미리 와서 기다리고 있는 태자인 법민(신라 제30대 문무대왕)과 만나 백제를 정벌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710일에 사비(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두 나라 군사가 만나 함께 백제의 도성을 치기로 약속한다.

소정방과 김인문의 13만 군대는 기벌포(지금의 금강 하구)에 도착하여 백제군을 크게 무너뜨리고 백제의 도성인 사비성에 먼저 도착하였다. 태종무열왕의 명을 받은 김유신은 5만 군사를 이끌고 황산벌(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로 나가니 백제 장군 계백이 이끄는 5천 군사가 먼저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김유신과 계백은 모두 네 번을 싸웠지만 승패를 결정짓지 못했다. 이때 화랑 반굴과 관창이 각각 혼자 백제군 진영으로 들어가 힘껏 싸우다 죽었는데, 이것을 보고 분노한 신라 군사들의 총공격에 계백을 비롯한 백제군은 전멸한다.

660712일에 나당연합군이 함께 만나 사비성을 포위하자 다음날 백제 의자왕은 신하들과 함께 밤에 도망하여 달아나 웅진성(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으로 피신한다. 사비성을 지키고 있던 의자왕의 아들이 먼저 항복하고 5일 뒤에 의자왕이 항복하면서 백제는 멸망하고 만다.

같은 해 11월 백제로부터 돌아온 태종무열왕은 백제정벌에서 전사한 자들과 전공을 세운 자들에게 상을 내려주었다. 661, 왕위에 오른 지 8년 만에 죽으니 나이 59세였고, 영경사 북쪽에 장사를 지냈다. 시호는 "무열(武烈)"이며, 묘호는 "태종(太宗)"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