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주문화유산답사

서남산,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반응형

자연 암벽의 동서쪽 벽에 각각 세 분씩 선으로 새겨진 육존상이다. 그 조각수법이 정교하고 우수하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선각 마애불(절벽의 바위 면에 양각(돋을새김), 음각(오목새김), 선각(선으로 새김) 등의 방법으로 새긴 불교의 조각상을 말한다) 중에서는 으뜸가는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이 마애선각육존상은 만들어진 시대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대체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고 있으며, 오른쪽 암벽의 정상에는 당시 이들 불상을 보호하기 위해 법당을 세웠던 흔적인 기둥 자리와 함께 빗물이 바위면 을 적시지 않게 물길을 돌렸던 홈이 남아 있다.

삼릉계곡선각육존불 (三陵溪谷線刻六尊佛)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호)

왼쪽 삼존상의 본존은 아미타여래상으로 양쪽의 보살상(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은 연꽃무늬 대좌 위에 무릎을 꿇고 본존불을 향해 연꽃을 공양하는 자세이다. 삼존상 모두 머리 뒤쪽에 둥근 두광(부처나 보살의 머리에서 나오는 빛)이 표현되어 있다.

좌측 아미타  삼존불

아미타여래상은 편단우견(왼쪽 어깨에 옷을 걸치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옷차림)으로 가사를 입고 있는데, 허리 밑에서 발 윗부분까지 U자형의 곡선을 그리며 늘어져 있다. 오른손은 가슴 앞에 들어 올렸고 왼손은 배 앞으로 들어 양 손바닥을 마주하고 있다.

아미타여래를 모시는 보살상은 모두 2개의 구슬이 달린 목걸이를 하고 있다. 어깨를 감싸고 양쪽 겨드랑이 밑으로 빠져나가는 천의(천인이나 선녀의 옷) 자락이 몸 옆으로 큰 곡선을 그리며 부드럽게 흘러내리고 있다.

오른쪽 삼존상의 본존은 석가여래상으로 넓은 연꽃대좌 위에 앉아 있고, 그 좌우의 보살상(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온화한 표정으로 연꼿을 밟고 본존불을 지그시 바라보고 서 있는 모습니다. 보살상은 모두 머리 뒷쪽에 둥근 두광을 새겼으며 본존상에만 두광과 신광(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이 새겨져 있다.

우측 석가모니 삼존불

본존상은 편단우견의 옷차림에 오른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가슴 앞에 들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배 앞에 들고 있다. 보살상은 구슬이 달린 목걸이를 하고 있으며, 오른손을 가슴 앞에 왼손은 손끝을 밑으로 하여 배 앞에 대고 있는 모습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