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7관등

신라의 신분제도, 성골과 진골 그리고 육두품 신라시대에는 혈통의 높고 낮음에 따라 신분을 엄격히 구분하였는데 왕족을 대상으로 한 골제와 귀족과 일반백성을 두품제로 구분하였는데 이것을 골품제도라고 한다. 신라는 골품제도를 통해 벼슬, 결혼, 옷차림, 집의 크기, 수레 등의 규모와 장식 등 사회생활 전체에 걸쳐 엄격하게 규제하였다. 신라의 국가 형성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한 골품제도는 6세기 초에 법으로 정해진 후 삼국통일을 이룩하고 멸망에 이를 때까지 이 제도를 엄격하게 지켰다. 신라시대 골품제도에서 최고의 신분 계급은 성골과 진골이다. 특히 성골은 그 중 가장 높은 신분으로 왕족 중에서도 일부만 차지하였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시조인 혁거세 거서간부터 제28대 진덕여왕까지 왕들을 성골이라 하였으나, 『삼국유사』에는 제23대 법흥왕에서 진덕여왕에.. 더보기
창림사,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國王慶膺造無垢淨塔願記) -국왕 경응(신라 제46대 문성왕의 이름)이 무구정탑을 만들고 바램을 기록한 글- 한림랑(신라시대의 관직으로 왕명을 문서로 작성하고 왕의 자문(의견)에 응하던 한림대의 우두머리, 이 관직에는 문장과 학문에 능한 사람들이 임명됨)으로서 새로이 추성군(지금의 전남 담양군) 태수(통일신라시대 군 단위에 파견된 지방관, 지금의 군수)를 제수(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받은 김입지가 국왕의 명을 받아 지음. 듣건데 경전에서 말하기를 공덕(착한 일을 하여 쌓은 업적과 어진 덕)을 짓는 데에는 만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만물에 무한한 이로움을 주는 것은 탑을 짓는 것 만한 것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생각건대 국왕께서는 여러 겁(劫, 무한히 긴 시간) 동안 선행을 행하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