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주

창림사,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 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國王慶膺造無垢淨塔願記) -국왕 경응(신라 제46대 문성왕의 이름)이 무구정탑을 만들고 바램을 기록한 글- 한림랑(신라시대의 관직으로 왕명을 문서로 작성하고 왕의 자문(의견)에 응하던 한림대의 우두머리, 이 관직에는 문장과 학문에 능한 사람들이 임명됨)으로서 새로이 추성군(지금의 전남 담양군) 태수(통일신라시대 군 단위에 파견된 지방관, 지금의 군수)를 제수(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받은 김입지가 국왕의 명을 받아 지음. 듣건데 경전에서 말하기를 공덕(착한 일을 하여 쌓은 업적과 어진 덕)을 짓는 데에는 만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만물에 무한한 이로움을 주는 것은 탑을 짓는 것 만한 것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생각건대 국왕께서는 여러 겁(劫, 무한히 긴 시간) 동안 선행을 행하셔.. 더보기
오릉, 신라초기 박씨 왕들이 묻혀 있는 곳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능으로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기록에서는 ‘사릉(蛇陵)’이라고도 한다. 모두 5기가 있으며,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거서간과 왕비 알영, 제2대 남해차차웅(재위 4~24), 제3대 유리이사금(재위 24~57), 제5대 파사이사금(재위 80~112)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일연스님이 지은 삼국유사에는 오릉이 혁거세거서간의 단독 무덤이라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박혁거세는 61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다가 하늘로 올라갔는데 칠일 후 시신이 땅에 흩어져 떨어졌고 왕비도 세상을 떠났다. 나라 사람들이 한 곳에 장사를 지내려 하자 큰 뱀이 이를 방해했다. 그래서 머리와 사지(두 팔과 두 다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를 제각각 장사 지내 오릉으로 만들었는데 이를 사릉이라고도 한다. 담엄사.. 더보기
경주남산 입곡(삿갓골) 석불두 경주시 배동의 삼릉 남쪽, 삿갓골(삿갓 모양의 작은 골짜기)에 있는 불상으로 통일신라 시대(8세기경)에 조각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불상은 입상으로 상반신 일부와 하반신 일부가 남아 있고 그리고 불상을 세워 두었을 것으로 보이는 연화대좌 일부가 부셔진 채로 놓여 있다. 불상의 상반신은 머리 뒷면 광배 일부와 허리 아래 부분이 잘려 없어졌다. 머리에는 소라껍질 모양으로 도르라지게 표현된 나발과 상투모양의 육계가 큼직하게 조각되어 있다. 콧날이 떨어져 나가고 없지만 얼굴 전체에 온화한 미소를 머금고 있는 것 같다. 귀는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으며 목에는 3줄의 삼도(불상의 목에 세 줄로 새겨 두는데 이것은 생사를 윤회하는 인과를 의미한다. 삼도란 번뇌도(煩惱道)·업도(業道)·고도(苦道)를 일컫는다)가.. 더보기
경주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시 율동(두대리) 벽도산 자락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마애삼존불입상이다. 가운데 서 있는 본존불 입상은 서방극락세계를 다스리고 있다는 아미타불로 알려져 있다. 본존불 왼쪽과 오른쪽에는 각각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새겼다. 위풍당당하게 서 있는 본존불의 큼직한 머리는 소발(민머리)로 상투모양의 육계가 낮게 조각되어 있다. 넓은 어깨에 걸친 법의는 통견의(양쪽 어깨를 모두 덮은 옷차림새)로 가는 선으로 조각되어 있다. 오른손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리고 불록한 손등을 보이고 있으며, 왼손은 가슴 앞에 들어 가운데 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맞대고 있다. 본존불의 머리와 몸 뒷면에는 가는다란 선을 두 줄로 돌려 두광과 신광을 표현하였으며, 다시 주변에 불꽃무늬를 새겼다. 전체적인 모습은 배모양의 거신광배로 표현되어.. 더보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쪽샘지구에서 대형 철제 농기구 출토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류춘규)는 경주 쪽샘지구 발굴조사에서 삼국시대 농기구(農器具)로 추정되는 대형 철제품을 확인하고 오는 9월 5일 오후 2시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대형 철제품은 지난 5월 중순 경 새날개모양의 금동제·은제의 관식과 정수리 장식, 뒤꽂이 장식이 모두 갖추어진 삼국시대 관모가 처음으로 발굴된 쪽샘지구 41호분의 부곽(副槨)에서 출토됐다. 그동안 확인된 삼국시대 철제 농기구 가운데에서도 가장 큰 규모이다. 특히 철제의 몸체에 편평한 날 부분을 결합시킨 특이한 탈부착식(脫附着式)구조로서는 국내의 고대 농기구들 중에서 처음 확인된 것이고, 일본과 중국에서도 동일한 형태의 것은 아직까지 발견된 사례가 없다. 대형 철제품은 두께 5.0㎝, 길이 22.8㎝, 너비 18.. 더보기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_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국립경주박물관은 관람객들의 호응에 힘입어, 특별전‘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을 당초 8월 21일에서 한가위 연휴 기간인 9월 13일(화)까지 연장하여 전시합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6월 8일(수)부터 8월 21일(일)까지 특별전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을 개최합니다. 1998년과 2000년 국립경주박물관 경내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우물 2기가 발굴되었습니다. 뜻밖에도 우물 속에서 토기, 목기, 금속기 등의 생활유물과 함께 많은 동물뼈가 발견되었습니다. 더욱 놀란 것은 열 살 쯤 된 어린아이의 뼈도 함께 나온 것입니다. 이번 특별전은 당시의 조사 내용을 처음으로 공개하는 전시회입니다. 동물고고학적 시각에서 1,200여 년 전 이 땅에 살았던 9세기대 통일신라의 여러 동물들을 살펴볼 수 있는 최초의 전.. 더보기
남간사지 당간지주 남간사는 경주시 탑동 남간마을에 있었던 통일신라시대의 절로 세워진 때와 세운 사람은 알 수 없지만, 애장왕과 헌덕왕 때, 이 절의 승려였던 일념(一念)이 "촉향분예불결사문(염촉, 즉 이차돈의 무덤에 불공하는 단체를 모은 취지문)"을 지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으로 헌덕왕 이전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 당간지주는 현재 논 한가운데 있으며 양 지주에는 당간을 고정하기 위해 각각 2개씩의 구멍을 뚫어 놓았는데, 특이하게 꼭대기에는 십(十)자 모양의 홈이 있다. 더보기
사천왕사지 당간지주 경주 낭산 아래, 사천왕사터 입구에 세워져 있는 이 당간지주는 당간을 고정하는 구멍이 양 지주 좌우에 각각 3개씩 뚫려 있다. 특이한 점은 상, 하의 구멍은 네모난 모양이지만 가운데 구멍은 둥근 모양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