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신라

경주남산 입곡(삿갓골) 석불두 경주시 배동의 삼릉 남쪽, 삿갓골(삿갓 모양의 작은 골짜기)에 있는 불상으로 통일신라 시대(8세기경)에 조각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불상은 입상으로 상반신 일부와 하반신 일부가 남아 있고 그리고 불상을 세워 두었을 것으로 보이는 연화대좌 일부가 부셔진 채로 놓여 있다. 불상의 상반신은 머리 뒷면 광배 일부와 허리 아래 부분이 잘려 없어졌다. 머리에는 소라껍질 모양으로 도르라지게 표현된 나발과 상투모양의 육계가 큼직하게 조각되어 있다. 콧날이 떨어져 나가고 없지만 얼굴 전체에 온화한 미소를 머금고 있는 것 같다. 귀는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으며 목에는 3줄의 삼도(불상의 목에 세 줄로 새겨 두는데 이것은 생사를 윤회하는 인과를 의미한다. 삼도란 번뇌도(煩惱道)·업도(業道)·고도(苦道)를 일컫는다)가.. 더보기
경주배리 윤을곡마애불좌상 경주시 배동 윤을곡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마애삼존불상으로 서남산 포석정에서 부흥사로 올라가는 남산순환도로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ㄱ자 모양의 바위면에 남쪽을 바라보고 있는 불상 2구와 서쪽을 바라 보고 있는 불상 1구가 각각 돋을새김되어 있다. 남산에 있는 수많은 불상 가운데 조각된 연대가 분명하게 밝혀진 불상이다. 남쪽을 향한 가운데 불상의 왼쪽 어깨 부근에 새겨진 ‘태화9년을묘(太和九年乙卯)’라는 글자를 통해 신라 제42대 흥덕왕(재위 826~836) 10년(835)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3구의 불상 중 본존불에 해당하는 불상으로 연꽃대좌 위에 앉아 있다. 왼손은 무릎에 걸친 모습으로 항마촉지인(악마를 항복하게 하는 손모양)의 수인(모든 부처님과 보살의 소원을 나타내는 손모양)을 보이고 있.. 더보기
경주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시 율동(두대리) 벽도산 자락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마애삼존불입상이다. 가운데 서 있는 본존불 입상은 서방극락세계를 다스리고 있다는 아미타불로 알려져 있다. 본존불 왼쪽과 오른쪽에는 각각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새겼다. 위풍당당하게 서 있는 본존불의 큼직한 머리는 소발(민머리)로 상투모양의 육계가 낮게 조각되어 있다. 넓은 어깨에 걸친 법의는 통견의(양쪽 어깨를 모두 덮은 옷차림새)로 가는 선으로 조각되어 있다. 오른손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리고 불록한 손등을 보이고 있으며, 왼손은 가슴 앞에 들어 가운데 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맞대고 있다. 본존불의 머리와 몸 뒷면에는 가는다란 선을 두 줄로 돌려 두광과 신광을 표현하였으며, 다시 주변에 불꽃무늬를 새겼다. 전체적인 모습은 배모양의 거신광배로 표현되어.. 더보기
사천왕사지에서 통일신라시대 석교 발견_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경주 사천왕사지(사적 제8호) 학술발굴조사 중 사역의 남쪽 귀부(龜趺) 주변에서 소형 배수로 위에 설치된 통일신라시대의 석교를 발견하고, 오는 10월 26일 11:00 경주 사천왕사지 발굴현장에서 자문회의 시 공개할 예정이다. 경주 사천왕사지는 경주 낭산(狼山)의 남쪽에 세워진 통일신라 초기의 호국 사찰로 쌍탑 배치가 처음 등장한 곳이며, 2006년부터 조사가 시행되어 가람의 구조가 밝혀졌다. 올해는 사역의 남쪽지역(귀부 주변)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고 있는데, 발견된 석교는 조선 시대 건물지의 하층에 앞서 축조된 배수로(폭 60㎝, 깊이 50㎝ 내외) 위의 동서 양편 2개소에 있으며 약간의 아치형을 이루고 있는 작은 돌다리이다. 중문지에서 남쪽으로 40m 지점.. 더보기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_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국립경주박물관은 관람객들의 호응에 힘입어, 특별전‘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을 당초 8월 21일에서 한가위 연휴 기간인 9월 13일(화)까지 연장하여 전시합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6월 8일(수)부터 8월 21일(일)까지 특별전 ‘우물에 빠진 통일신라 동물들’을 개최합니다. 1998년과 2000년 국립경주박물관 경내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우물 2기가 발굴되었습니다. 뜻밖에도 우물 속에서 토기, 목기, 금속기 등의 생활유물과 함께 많은 동물뼈가 발견되었습니다. 더욱 놀란 것은 열 살 쯤 된 어린아이의 뼈도 함께 나온 것입니다. 이번 특별전은 당시의 조사 내용을 처음으로 공개하는 전시회입니다. 동물고고학적 시각에서 1,200여 년 전 이 땅에 살았던 9세기대 통일신라의 여러 동물들을 살펴볼 수 있는 최초의 전.. 더보기
보문동 연화문당간지주 보문사 절터에 있는 당간지주로 위쪽 바깥면의 네모난 틀 안에 8장의 연꽃잎이 새겨져 있는 특이한 모습을 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기도나 법회 등 절에 큰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더보기
구황동 당간지주 분황사 남쪽에 위치한 이 당간지주는 양 기중에 별다른 조각을 두지 않은 간결한 모습을 하고 있다. 당간지주 옆으로 황룡사터가 광할하게 펼쳐져 있다. 높이 3.6m인 양 기둥 사이에 특이하게도 거북모양의 당간받침이 놓였 있다. 기둥 안쪽 면에는 당간을 구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3개씩 뚫어 놓았다. 이 당간지주는 황룡사가 아닌 분황사 소유였을 것으로 추측하며, 통일신라 시대의 작품으로 보고 있다. 더보기
삼랑사지 당간지주 절에서 여러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사찰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이 깃발을 매달아 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의 좌우에 세워 단단히 지탱해 주는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이 지주는 높이 3.7m로 가장자리를 따라 종선문(縱線文)이 양각되어 있고, 그 중앙에 세로로 아래 위에 능선이 조식되었다. 꼭대기에서는 바깥쪽으로 반원형의 선이 흘러내리다가 한 단의 굴곡을 이루고 있는데,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삼랑사는 신라 진평왕 19년(597)에 처음 건립되어 역대 왕들의 행차가 잦았던 이름 높은 절이었으나 지금은 당간지주만이 남아 있다. 더보기